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deep dive
- 모던자바스크립트
- 셋팅
- domain
- 오블완
- CORS
- 코딩테스트
- 소셜 로그인
- 코드카타
- git
- 리터럴
- useRouter
- array정적메서드
- error
- 프로그래머스
- 티스토리챌린지
- nextjs
- React
- Next
- 모던 자바스크립트
- 구글 로그인
- vscode
- 프로젝트 셋팅
- 코테
- 자주 까먹는
- 스파르타코딩클럽
- vercel
- 초기셋팅
- 내일배움캠프
- js
- Today
- Total
목록최적화 (2)
도록
정의사용자의 현재 화면에 보이지 않는 영역은 렌더링을 건너뛰는 속성이다.이를 통해 초기 페이지 로드 시간을 단축해,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. 사용 방법우선 각 영역을 section으로 나누고, 나누어진 섹션에 아래 css을 적용시킨다.content-visibility: auto; // 브라우저에게 해당 요소가 현재 뷰포트에 보이지 않을 때 렌더링을 건너 뛰기contain-intrinsic-size: 1000px; // 스크롤바가 올바르게 뜨기 위해, 요소의 예상 크기를 설정 conetent-visibility가 가질 수 있는 값의 종류는?- visible : 아무런 효과 없음- hidden : 요소 생략 (dispaly:none처럼, 페이지 내 찾기/user-agent 접..
쓰로틀링(Throttling)과 디바운스(Debouncing)는 자주 발생하는 이벤트를 제어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는 기법으로, 주로 스크롤, 리사이즈, 텍스트 입력 같은 빈번한 사용자 상호작용에 사용됩니다. 두 기법 모두 불필요한 함수 호출을 줄여 성능 문제를 방지하지만, 그 동작 방식과 적용 상황이 다릅니다.1. 디바운스 (Debouncing)디바운스는 마지막 이벤트가 발생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기 전까지는 함수 호출을 미루는 기법입니다. 사용자가 계속해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동안 함수 호출은 지연되며, 마지막 이벤트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비로소 함수가 실행됩니다.동작 방식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타이머를 설정합니다.만약 새 이벤트가 이전 타이머가 끝나기 전에 발생하면, 이전 타이머를 취소하고 새로운 ..